2월- 무심시도(無心是道) 무심이란 어떤 일을 행할 때, 고착적으로 얽매이지 않고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 성숙하다거나 고요하다는 '상태'를 지칭할 때 쓰는 말이 아니다. - 살아가는 현장속에서 사고하고 행동해 나가지만 동시에 그것들로부터 고착적으로 얽매이지 않는 태도를 갖는 것 - 금강경에 있는 부처님 말씀처럼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쓰는 것 - 비어 있기보다는 오히려 꽉 차 있는 것 머물러 있기보다는 행동하는 것 이것 저것의 중간 지점의 중립 상태가 아닌 특정한 견해나 입장을 표현하는 속에서 구현되는 것 번뇌나 생각을 하나하나 제거하는 일도 아니며 점진적으로 익히고 정제하여 고도로 단련한 그 어떤 성숙한 상태를 지칭함도 아닙 고요하다거나 잠잠한 침묵의 상태는 더더구나 아니지요. - 조그만 나로부터 전체와 결부된 나로.. 2020. 10. 27. 4월 - 윤회와 해탈 불교철학은 윤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해체’함으로써 답을 준다. 불교는 세계의 원리로 윤회가 아닌 연기(緣起)를 말한다. 이 세상은 윤회하는 주체가 없는 끝없이 이어지는 변화의 연속(불꽃)이다. 윤회의 실상 그대로를 온전하게 수용하고 창조적인 의지로서 역사의 변화를 통찰 활용할 것을 말한다. 고대인도 윤회 불교 (緣起) 윤회 - “생명은 한번 죽음으로써 그 삶이 끝나는 것이 아니며 끝없는 재생을 하게 된다” - 고대 인도의 종교 사상, B.C.6세기쯤 부처님 당시의 인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사상 - 연기(緣起)의 가르침:‘변화와 관계성의 법칙’ 개체를 불인정 하므로 윤회는 성립되지 않음, 변화와 관계임. - 독자적이고도 불변하는 실재성(實在性)을 인정하지 않음 관계와 변화의 과정 속에 .. 2020. 10. 27. 깨달음과 역사 ■ 깨달음이란 삶과 세상을 보는 관점이 ‘변화’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 깨달음과 역사 - 현응 지음/불광출판사 서문 『깨달음과 역사』를 다시 펴내며 1장 사제(師弟)에게 보내는 열두 번의 편지 ~98/ 이○정 대승과 소승’, ‘윤회와 해탈’, ‘색즉시공 공즉시색’, ‘돈오 그 혁명적 깨달음을 위하여’ 등 중요한 여러 가지 불교 주제를 편지글로 알기 쉽고 속 시원하게 설명, 대중들에게 어렵게만 느껴지던 불교 교리가 매우 쉽게 다가온다. 1월_ 대승과 소승 2월_ 무심시도(無心是道) 3월_ 확연무성(廓然無聖) 4월_ 윤회와 해탈 5월_ 색즉시공 공즉시색 6월_ 공(空)의 이중적 구조 7월_ 대도무문(大道無門) 8월_ 깨달음과 역사 9월_ 돈오점수설, 돈오돈수설에 대해 10월_ 마음·부처·중.. 2020. 10. 26. (2) 10.17 요약 목차 요약 13. 무아(無我) 1 1. 바라문교와 힌두교의 아트만 2. 서양 종교의 영혼 3. 불교와 철학에서의 자아(self, 참나) 14. 무아(無我) 2 1. 오온(五蘊) 2. 오온의 무상(無常)함과 무아(無我) 3. 오온에 대한 호오(好惡), 오온의 변화, 그리고 무아 송*소 15. 무아(無我) 3 143 1. 허구(fiction)로서의 전체(whole) 144 2. 쓸모 있는 개념적 허구(useful conceptual fiction)로서의 나 148 3. 나의 존재와 관련된 속제(俗諦)와 진제(眞諦) 152 16. 마음은 없다. 154 1. 근본적으로 물리적인 이 우주 어디에 마음이 존재할까? 154 2. 마음이 본질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라고 본 데카르트 156 3. 데카르트의 마.. 2020. 9. 20. 김성구 교수의 현대물리학으로 풀어본 반야심경 blog.naver.com/kylee8833/221223787295 김성구(현대물리학으로 풀어본 반야심경 - 21강) 김성구(현대물리학으로 풀어본 반야심경 - 21강) 과정과 실재: 윤회에 대한 고찰 http://www.btn.co.kr/pro... blog.naver.com 2020. 9. 17. 9.19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1. 불교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이해할 것인가 7 2.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1) 16 3.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2) 27 4.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3) 37 5. 인과(因果) 47 6. 관계 (關係) 57 7. 연기(緣起)와 공(空) 67 8. 공(空)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73 9. 공(空)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83 10. 연기와 무상 92 11. 무상한 사물들 103 12. 무상과 상(相) 112 2020. 9. 7. 불법을 만나는 것은 거북이가 구멍 난 판자에 목이 끼이는 것과 같이 만나기 어려운 인연 흔히 사람으로 태어나 부처님 가르침을 접하게 되는 것은 바다 거북이가 숨 쉬러 바다 위에 고개를 내밀었을 때 때마침 거길 떠다니던 구멍 난 판자에 목이 끼이는 것과 같이 만나기 어려운 인연이라 하였다. 불기 2561년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다시 한 번 그분의 가르침과 인연 맺게 됨을 소중히, 그리고 기쁘게 되새겨본다. 2020. 8. 27. 9.5 공동요약-<불교의탄생> 2020. 8. 25. 초기 불전의 기원,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초기 불전의 기원, 불교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 리처드 곰브리치 지음, 김현구 외 옮김/CIR(씨아이알) ▶ 또다시 윤리가 형이상항을 대체하였다.(p.92) ▶ '무엇이'가 아니라 '어떻게' ▶ 도덕성을 강조 94 2020. 8. 14. 불교의 탄생 서문 - 인도사상, 불교, 철학 충의 하나로서의 불교(비교사상연구) - 기원전 5세기~기원후 1000년 제1장 불교전야 윤회설의 확립 - 윤회설- 신의 의향이 아닌 자업자득(철저한 자율적 책임 윤리) - 본격적인 책임 윤리의 확립 인과응보 - 엄격한 의미의 인과응보의 원리는 기원전 1500년경 이주해 온 아리아인들이 가져왔다. (베다사상) - 죽은 자들의 나라(명부)→야마(해, 한자 음사로은 염마), 야미(달) 에서는 무섭지 않다가 - 베다의 종교를 관장하는 바라문(제관) 등장, 기원전 8세기 경 베다성전 성립(제사행위의 기원과 의의)하면서 무섭게 변함 - 행위보다 지식 중시 경향 (우파니샤드) - 천칙의 감시자인 바루나 신의 아들 브르구 - 인과응보는 바라문이 심리적 속박으로 사람을 지배하고 있던 사회.. 2020. 8. 14. 9.19 <현대적으로 이해하는 붓다의 가르침> 1. 불교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이해할 것인가 7 2.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1) 16 3.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2) 27 이*은 4. 연기(緣起)란 무엇인가 (3) 37 5. 인과(因果) 47 6. 관계 (關係) 57 이*정 7. 연기(緣起)와 공(空) 67 8. 공(空)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1) 73 9. 공(空)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83 오*미 10. 연기와 무상 92 11. 무상한 사물들 103 12. 무상과 상(相) 112 송*소 목차 [1] 불교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이해할 것인가 I. 현대인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용어/ 논증/ 표현 방식으로 불교를 이해해 보려 한다. - 현대인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용어와 논증 그리고 표현 방식을 사용하려 한다. II. 비교(co.. 2020. 8. 9. 현대인의 불교 공부법 오늘날 현대인이 깨달음을 얻으려면 먼저 부처님 당시부터 지금까지 진화되어 왔던 다양한 모습의 연기론을 알기위한 노력을 선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오늘날 현대 문명사회의 현대인이 잘 깨달으려면 (이해하려면) 어떤 방법으로 노력해야 하나? (깨달음과 역사 pp.328~331) 깨달음이란 연기와 공에 대한 올바른 이해' 이다. 연기론은 부처님 당대부터 꾸준히 시대에 적응하면서 진화해 왔다. 즉 연기론은 부처님 때부터 2,600년이 흐른 지금까지 하나의 성격과 내용으로 변함없이 이어온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오늘날 현대인이 깨달음을 얻으려면 먼저 부처님 당시부터 진화되어 왔던 다양한 모습의 연기론을 알기위한 노력을 선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요령 있게 습득하면 이해하는 데 그리 많은 시간을 요하지않을 것이다... 2020. 7. 28. 불교와 현대심리학(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COURSERA 강의) 목차 [1] 강의 소개 Buddhism and Modern Psychology by Princeton University 자아가 존재하지 않으며, 인지된 현실의 대부분이 어떤 의미에서는 환상이라는 불교의 교리를 진화심리학적으로 설명하는 무료 온라인강의이다. 그리고 이런 원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설명한다. COURSERA의 강의는 나중에 책으로 출판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마음친구 출판사에서 라는제목으로 출간했다. https://www.coursera.org/learn/science-of-meditation/home/info Coursera | Online Courses & Credentials From Top Educators. Join for Free | Coursera Learn on.. 2020. 7. 28. 불교책 같이 읽기 안내 불교책 같이 읽기 패러다임의 전환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그러한 내용이 나오기까지 바탕으로 삼고 있는 관점에 관심이 가게 됩니다. 이제 세상을 파악하는 틀은 부분에서 전체로, 구조에서 과정으로, 객관적 학문에서 인식론적 학문으로, 실체가 아닌 관계로, 절대치에서 근사치로 패러다임이 전환이 되었다고 합니다. 불교철학은 전환된 패러다임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되어준다고 생각해서 몇권의 책을 정해 같이 읽어보려 합니다. 모임시간 - 1,3주 토요일 오전 8시~10시 방식 ① 책 한 권을 각각 나눠 맡아서 주요 내용을 정리 및 발췌 ② 각자의 문서로 만들어 참여자들에게 배포 (해 보고 더 나은 방식이 있으면 보완해 가려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 전체일정 .. 2020. 7. 27. 깨달음이란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6180721532824 “깨달음은 초월적이고 신비한 경험 아닙니다” 현응 스님의 깨달음과 역사를 번역한 홍창성 미네소타주립대 교수. 그는 이 책을 통해 한국 불교에 대해 서구인들이 제대로 이해하길 바랐다. 불광출판사 제공 90년대 출간 현응 스님 철학서 정� www.hankookilbo.com 깨달음이란 삶과 세상을 보는 관점이 ‘변화’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 2020. 7. 18. <불교책 읽기 모임> 관련 책을 선정중입니다. "업은 작용이지 존재가 아니다. 나아가 업은 우연적인 것도, 완전히 결정된 것도 아니다.”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 일반시스템이론은 생명·생태·윤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조애너 메이시 (지은이),이중표 (옮긴이)불광출판사2020-02-19원제 : Mutual Causality in Buddhism and General Systems Theory: The Dharma ofNatural Systems (1991년)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33471999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인공지능을 탄생케 한 시스템이론과 인공두뇌학(cybernetics)의 기원을 다룸과 동시에 불교의 연기법(緣起法)과 비교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 2020. 7. 18. “불교는 종교라기보다 삶의 방식 2008.07.10 news.joins.com/article/3219824 “불교는 종교라기보다 삶의 방식” 7일 서울 동국대 교정에서 리처드 곰브리치(71) 교수를 만났다. 그는 현재 영국불교학회 회장이다. 2004년 은퇴한 그는 옥스퍼드대에서 무려 28년간 초기 불교와 산스크리트어를 가르쳤다. 1959년에 news.joins.com “나는 종교가 없다. 그러나 인류가 종교적 성향을 중요시하는 게 삶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매우 공감한다. 그리고 나는 부디스트(불자)에겐 기본적으로 ‘종교’라는 용어가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불교는 종교적 외형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이야기하는 거다. 불교적 삶의 방식을 말하는 거다.” -부처님 당시의 초기 불교를 연구했다. 이유가 있나 “‘초기 불교’를 통해.. 2020. 7. 18. 세탁기의 배신 ■ 이반 일리치, 루스 코완, 수전 스트레서, 매릴린 옐롬 등 여성과 가사노동, 가사기술에 대한 연구를 망라하고, 서구 페미니즘의 역사가 가사기술에 끼친 영향을 개괄하며, 당시 미국 중심의 시대별 인구센서스와 잡지 광고를 통해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훑어낸 책이다. 특히 당시 미국 가정의 경우, 노동절약적이고도 시간절약적인 가전제품들이 20세기 전반을 통해 줄줄이 도입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왜 여성들의 가사노동시간이 여전하거나 오히려 더 늘어났는지에 대해 세탁기, 청소기, 냉장고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 함께 읽기 8.24~8.27 4일간 ■ 토론 : 8.29(토) 온라인 토론참가문의:카톡 mirinae2766로 연락주세요. 2020. 7. 9. <인간의 조건> 2020.4.28~ 함께 읽고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4월 29일 수요일 1,2장4월 30일 목요일 3장5월 1일 금요일 4장5월 2일 토요일 5,6장 일정은 편의상 이렇게 잡아봤는데요, 각자의 사정에 맞게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여하실 분 댓글로 선언해 주세요^^ 2020. 7. 8. <함께 읽기> 함께 읽기 혼자 읽기 어려운 책을 같이 읽어나갑니다. 다 읽은 후 온라인 토론으로 진행합니다. 함께 읽기 ① - 읽기+토론 정해진 책을 일정에 따라 읽고 톡방/밴드에 단상 정리하기 ■ 함께 읽기 ① - 정해진 책을 일정에 따라 읽고 톡방/밴드에 단상 정리하기 1) 미리 정한 독서 스케줄에 따라 - 스케줄에 맞춰 독서를 진행합니다. 2) 톡방에 인상깊은 부분/ 단상을 공유합니다. 3) 해당기간 1회의 zoom을 이용하여 온라인 독서토론을 진행합니다. 4) 문의 : 카카오톡 아이디 mirinae27 ■ 함께 읽기 ② + 쓰기 Clarence Book Club GIF from Clarence GIFs 2020. 7. 8. <육식의 성정치> 발췌와 단상을 시작하려고 합니다.(2020.3.18~) 발췌와 단상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서문부터 읽기 지루하시죠? 그런데 생각해 보면 서문은, 본문을 다 쓰고 난 다음에 쓰는 글인 것 같아요. 그러니 굳이 먼저 읽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요.그래서 77쪽부터 시작하면 어떨까 합니다. 77쪽부터 357쪽까지가 본문이고 그 이후로부터 391쪽까지가 25주년 기념판 후기니까, 총 314쪽을 40쪽씩 나눠 읽으면 8일이면 됩니다. 다 읽은 후 을 읽도록 하겠습니다(다른 서문들은 비슷한 말의 반복이 많고 굳이 읽을 필요 없는 내용도 많습니다). 오늘 18일부터 매일 약 40쪽씩 읽고 발췌와 단상을 남겨 주세요. 제가 범위를 정하겠습니다. 18일(수) 77쪽 - 116쪽 첫 번째 문단까지19일(목) 116쪽 두 번째 문단 - 158쪽까지20일(금) 159쪽 -194쪽까.. 2020. 7. 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