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읽기/불교책+a 읽기모임

불교의 탄생

by 책이랑 2020. 8. 14.

서문

- 인도사상, 불교, 철학 충의 하나로서의 불교(비교사상연구)
- 기원전 5세기~기원후 1000년 

제1장 불교전야

윤회설의 확립

- 윤회설- 신의 의향이 아닌 자업자득(철저한 자율적 책임 윤리)
- 본격적인 책임 윤리의 확립

인과응보

- 엄격한 의미의 인과응보의 원리는 기원전 1500년경 이주해 온 아리아인들이 가져왔다. (베다사상)
- 죽은 자들의 나라(명부)→야마(해, 한자 음사로은 염마), 야미(달) 에서는 무섭지 않다가
- 베다의 종교를 관장하는 바라문(제관) 등장, 기원전 8세기 경 베다성전 성립(제사행위의 기원과 의의)하면서 무섭게 변함
- 행위보다 지식 중시 경향 (우파니샤드)

- 천칙의 감시자인 바루나 신의 아들 브르구
- 인과응보는 바라문이 심리적 속박으로 사람을 지배하고 있던 사회의 기본 윤리가 됨

윤회설과 재생 사상

- 동서고금에 걸쳐 '사후재생'개념은 공통적이지만
- 재생 후, 죽음, 다시 태어나고 죽는 일을 반복하는 윤회설은 고대에서는 그리스와 인도에서만 나타남

고대 그리스의 윤회 사상과 크리스트교의 시간론

- 원환적 시간론- 그리스의 시간관념(타락사관)과 인도의 시간관념은 공통점이 많다- 
- 직선적 시간론- 크리스트교의 시간관념

 

윤회설의 등장

오화설

- 죽은 자가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제사 행위에 비유하여 설한 것
- 태양, 비구름, 대지, 남자,여자

이도설

- 달에 이른 자를 심문하는 자가 있다는 생각이 등장
- 아그니(불의신), 바유(바람의 신) 바루나(물의 신), 아디티야(바람의 신), 아디티야(태양의 신), 인드라(제석천), 파라자파티(창조주), 브라흐마(범천)

-아미타우자스(무량의 빛으로 넘치는) 라는 침대가 있다고 함

-기원전후 성립한 대승불교의 초월적 붓다의 모습인 무량광불과 비슷

윤회설은 왕족의 전승

- 우파니사드의 2대철인 - 야즈나발키아, 웃달라 아루니-스베타케투 비데하국의 자나카왕 밑에 있었다.

윤회설의 이후 전개

-죽음을 되풀이 하는 일이 없는 것- 아마타amata

-  nirvana

- 차안(윤회전생하는 괴로움의 세계)-피안(궁극의 평안, 적정의 경지, 불사,열반)

- 윤회전생(인과응보)는  윤회하는 주체가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탐구하기 시작함

- 야즈나발키야
* 참된 자기(참된 아트만)이 윤회를 짊어지는 주체라고 밝힘
* 업=행위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잠재적인 힘으로 변해 축적된다고 생각함

* 일원론은 후대에 → 불이일원론(후대 상카라 sankara, 기원후 8세기), 으로 이어짐
* 야즈나발키아의 일원론과 대승불교 최초학파의 개조이며 공사상을 주창한 용수의  공과  모순되지 않음
- 윤회적 생존의 영역이 분류되기 시작함-  오취(태어나는 곳) 윤회설, 육도윤회설(아수라)  등

- 불사하는 천신이 윤회하는 존재가 되기 시작함

 


| 무아와 윤회
불교는 영원불멸의 아뜨만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無我란 아뜨만은 없다는 것을 표명한 것이다. 또한 아뜨만은 자성自性에 해당하므로 무자성의 공空에 의해서도 부정된다. 아뜨만을 인정하지 않는 무아와 공이 기본인 불교에서 윤회와 인과응보는 어떻게 설명될까?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420

 

[불교를 만나다] 윤회와 아뜨만과 공 - 불광미디어

  사바세계에 얽힌 이야기 중생은 세상이 자신의 욕망대로 되지 않기에 괴로움 속에 살아간다. 중생이 사는 이런 세상을 불교에서는 사바세계라 부른다. ‘사바娑婆’라는 말은 인도말 ‘사하s

www.bulkwang.co.kr

 

많이 가질수록 행복이 커질 것 같지만, “좀 더, 좀 더” 하다 보면 부지불식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보물은 눈에 들어오지 않고 남의 떡만 크게 보여서 겪지 않아도 될,,, 불필요한 것에서 자유로울수록 행복은 커진다는 것은 자명하다.
 
인도 민화 속의 부자의 욕망은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이다. 채워지는 족족 더 크게 부풀어 오르는 이것을 갈애라고 한다. 경전에서는 “설산 전체를 황금으로 바꾸고 또 그것을 두 배로 늘인다고 해도 한 사람의 갈애를 만족시킬 수 없다.”고 한다.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서 맥베스의 부인은 “희망을 이루어도 만족은 없.”고 말한다. 갈애의 성격을 잘 보여 주는 말들이다.

나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이며 얼마만큼일까? 나는 ‘조그만 더 병’에서 얼마나 자유로운가? 

https://www.bulkw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454

 

[불교를 만나다]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 불광미디어

‘나’라고 불리는 것의 진실 세상에 똑같은 나뭇잎은 없다. ‘목련 잎’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수많은 나뭇잎. 하지만 그중에 모양과 색깔과 결이 똑같은 잎은 없다. 한 장의�

www.bulkwang.co.kr

 

 

2. 초기의 출가와 바라문들의 저항

‘출가자’라는 말

출가란

최초기의 출가

보수적인 바라문들의 저항

생활기(아슈라마)

생활기를 부정하는 사상

악마의 유혹

생활기의 수정


3. 사문과 육사외도
사문의 출현과 사회배경

육사외도(뿌라나 깟사빠/막칼리 고살라/아지따 께사깜발린/빠꾸다 깟짜야나/산자야 벨랏티뿟따/니간타 나따뿟따)

제2장 석존의 생애
1. 전설과 역사적 사실
석존의 실재성/석존의 재세 연대/신화적 전승
2. 태어남
석존의 가계/석존의 호칭/탄생
3. 출가(사문)를 향한 길
청년 시절의 석존/출가를 향한 동경/석존의 결혼 생활/아들을 얻다
4. 출가 수행
출가하다/선정의 길로/고행의 길에 들어서다/고행을 버리다
5. 성도에서 초전법륜으로
체력을 회복하다/붓다가 되다/‘붓다’의 의미/붓다의 다른 이름/설법을 주저하다/범천권청 에피소드/설법의 시도/초전법륜-최초의 설법
6. 그 후의 활동과 제자들
야사의 출가와 사중의 성립/석존, 명성을 떨치다/석존의 ‘타협적 태도’에 대하여/산자야 제자들의 합류/사꺄족 출신의 제자/기원정사를 기증받다/비구니 교단의 성립/그 외의 제자들
7. 반열반에 들다
석존의 만년/마지막 여행을 떠나다/병을 얻다/반열반에 들다/마지막 설법/다비와 사리의 여덟 배분

제3장 최초기 불교의 사고방식
1. 삶에 대한 허무주의
윤회적 생존이란/궁극의 목표/그럼에도 살아간다는 것은/진실과 방편-가치와 의미의 창출/선악과 그 피안/발전이라는 이름의 방편의 비대화/방편 비대화의 요인
2. 경험론, 불가지론, 중도
석존의 기본적 입장/경험론과 불가지론/십무기설/무상이라는 것/비아, 무아라는 것/불가지론과 실용주의/중도
3. 인과론
불가지론과 인과론/사성제설
4. 명상, 계율
고행과 명상/지혜와 명상/명상의 다양함/사무량심-수행자의 마음가짐/교정으로서의 계율/십삼두타지

더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
학술문고판 후기
역자 후기
접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