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coursera.org/learn/science-of-meditation/home/welcome
목차
[1] 우리의 뇌가 현실을 명확하게 보지 못한다는 증거
ex 1) 우리는 쾌락의 순간에만 집중한다:
우리는 쾌락이 결국 줄어들어 사라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쾌락이 사라진다는 사실보다는 쾌락의 즐거움에 대해서 더 많이 생각한다.
ex 2) 누구에게 반한 경우, 그사람의 장점만을 생각 한다:
누군가에게 진지하게 반한 경우 그 사람의 결점이나 결함을 보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인간) 관계는 사실 더 복잡하다.
ex 3) 정말로 원하는 직업이 있는 경우 좋은 점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그것을 가졌을 때의 좋은 점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실제 그 직업을 가졌을 경우 겪게될지도 모를 번거로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않는다.
[2] 우리 몸은 만족이 지속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족을 느낄때 방출되는 대표적인 물질은 도파민인데, 10 초, 20 초 동안만 방출됨
만족이 사라지게 만들어진 이유는? - 그래야만 유전자 보존에 유리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기 때문.
▶ 자연 선택 때문- 즉 유전자를 다음 세대로 가져가는 것에 촛점이 맞추어 진화가 됨
따라서 유전자를 남기는데 유리한 행동음식인 – 섹스/먹기/쾌락이 나오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도록 한시점에서만 방출되었다가, 사라지게 되어 있다.
▶ 만일 당신이 그 행동을 따라가지 않고 앉아서 생각한다면, 즐거움은 나노초 안에 끝날 것이다. 방에 홀로 앉아 있고, 실존 철학이나 무언가를 읽게 된다. 하지만 이것은 유전자 보존에는 불리하다. ㅋㅋ
▶ 쾌락은 우리를 불만족스럽게 만들도록 증발하도록 고안
부처는 우리가 쾌락에 대한 전체 그림을 보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우리는 쾌락이 달아난다는 사실은 생각지 않고, 쾌락의 순간에만 초점을 맞춘다.
[3] 자연 선택의 관점에서 '행복'은 도구 일 뿐, 유전자의 보존에 유리할 때만 O.K 한다.
- 앞서 말한 바와같이, 불교는 어떤 의미에서는 자연 선택에 대한 일종의 반항이다.
- 불교는 우리가 항상 세상을 명확하게보기를 원하고 우리의 고통을 끝내기를 열망한다.
vs. 자연 선택은 때때로 우리가 세상을 명확하게 보지 않기를 원하고 때로는 고통을 받기를 원한다.
- 그래서 분명히, 불교 프로그램은 자연 선택의 논리와 암묵적인 목표에 어느 정도 반대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면에서 우리는 그것의 절반도 보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자연 선택에 대한 불교의 반란이라고 부르는 전체 를 위해서.
고통을 끝내는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고 우리가 세상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돕는 불교의 특정 전략(사성제)
그래서, 당신은 세 번째와 네 번째 고귀한 진리(멸성제와 도성제) 를 볼 필요가 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함께 읽기 > 불교는 왜 진실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과 모듈의 관계(5주) (0) | 2020.11.17 |
---|---|
정신모듈은 상호작용하는 네트웍이다. (4주차) (0) | 2020.11.17 |
무아와, 그걸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인식에 대해(3주차 강의) (0) | 2020.11.16 |
뇌의 디폴트 모드와 명상모드(2주차 4번째 강의) (0) | 2020.11.16 |
불교는 왜 진실인가 알라딘 책소개 (0) | 2020.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