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어디서 어떠한 콤플렉스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분명히 드러내고 인식해야만 장차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아가 보다 독립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으로 재탄생하기 위해서도 콤플렉스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토론기록으로 가기
![]() |
■ 콤플렉스의 탄생, 어머니 콤플렉스 아버지 콤플렉스(Vater-Tochter Mutter-S?hne,2005) 베레나 카스트 (지은이),이수영 (옮긴이),김영옥 (감수)푸르메 2010 |
여성문학 읽기
남성 중심의 문학사에서 가리워진 여성 작가들의 작품,여성 및 소수자의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분야의 도서들을 읽고 토론합니다.
진행방식
○ 오픈 1일전 카톡방에 초대됩니다. 진행도서는 꼭 미리 읽고 와주세요.
○ 논제를 중심으로 깊이 있고 폭 넓은 이해를 도모하는 토론으로 진행됩니다.
○ 코로나로 인해 대면 모임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화상토론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콤플렉스는 병이 아니다
여성주의를 바탕으로
이 책의 가장 큰 가치는 어머니 콤플렉스의 상세한 분석을 통해 여성적인 것의 위상을 끌어올린 데에 있다. 저자는 가부장적 학문인 정신분석에서 그동안 여성의 자리가 극히 미미했다고 지적한다. 아버지 콤플렉스만 부각되고 어머니 콤플렉스는 여성적인 것의 경시 속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프로이트가 정신분석을 창안한 이래 정신분석의 가부장적 특성은 늘 지적되었던 부정적 측면이다. 이에 베레나 카스트는 이 책을 통해 정신분석 논의에서 거의 제외되어온 어머니 콤플렉스를 기술하는 데 많은 장章을 할애하며 여성의 위치를 새롭게 확립한다.
리더의 말
지금까지 콤플렉스는 허점과 치부를 드러내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콤플렉스의 탄생, 어머니 콤플렉스 아버지 콤플렉스》는 이러한 콤플렉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뒤집는다. 저자는 자신의 콤플렉스를 알면 얼마든지 새롭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콤플렉스야말로 자신을 창조하는 동력이 된다고 말한다. 즉 콤플렉스도 삶에 충분히 긍정적인 작용을 하며 그 안에서 미래에 대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모임운영: 이승은![]()
|
'여성문학 읽기 > 인문,이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4. 돌봄선언(더 케어 컬렉티브, 2021) (0) | 2021.06.17 |
---|---|
049. 소녀들의 심리학(2021.5.22) (0) | 2021.02.13 |
033. 그림자 노동(이반 일리치, 사월의 책, 2015) (0) | 2020.08.03 |
029. 육식의 성정치(캐럴 제이 애덤스, 이매진, 2018) (0) | 2020.08.03 |
023. 타인의 고통, (수잔 손택, 이후, 2004) (0) | 2020.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