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오스틴 관련 자료중에 인상 깊었던 자료입니다.
- 첫번째 자료는 제인 오스틴의 작품이 왜 지금까지 사랑받는지 이유를 알 수 있는 근거가 될 것 같고요
- 두번째 자료는 당시 상황을 잘 이해하게 해주는 보충 자료로 좋을 것 같습니다.
마차의 종류를 알면 재력을 보여준다거나 성향을 보여주는 단서라는 걸 이해할 수 있겠지요?
-세번째는 2020년 당시 줌으로 했던 강좌의 계획서인데 제인 오스틴의 작품을 이런 키워드로도 해석하는 구나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제인 오스틴, 게임이론 이론가 Jane Austen, Game Theorist
by Michael Suk-Young Chwe (2014-03-23)
제인 오스틴의 작품에서 게임 이론이 모든 인간 행동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법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어떻게 선택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인 게임 이론은 오늘날 사회과학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술적 접근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마이클 츄가 통찰력 있는 새 책에서 밝힌 것처럼, 제인 오스틴은 약 200년 전에 6편의 소설에서 게임 이론의 핵심 아이디어를 탐구했습니다. <게임 이론가 제인 오스틴>은 이 사랑받는 작가가 어떻게 선택과 선호를 이론화하고, 전략적 사고를 중시하며, 파트너와의 공동 전략이 친밀감을 위한 가장 확실한 토대라고 주장하고, 상급자가 하급자에 대해 전략적으로 우둔한 경우가 많은 이유를 분석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 책은 다양한 문헌과 민담을 통해 게임 이론의 광범위한 관련성과 근본적으로 우리 모두가 전략적 사고자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게임 이론의 수학적 발전은 냉전 시대인 1950년대에 시작되었지만, 췌는 게임 이론이 오스틴의 소설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화를 비롯한 ‘민속 게임 이론’ 전통에 더 일찍 전복적인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합니다. 췌는 이러한 문학적 선조들이 게임 이론의 진정한 과학적 전신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는 특히 오스틴이 전략적 사고의 부재라는 '우둔함'을 어떻게 분석했는지, 그리고 그녀의 날카로운 관찰이 이라크와 베트남에서의 미군 실수를 비롯한 다양한 상황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고려합니다.
게임 이론가 제인 오스틴은 문학과 사회과학의 연구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결합합니다.
츄석영
UCLA 정치학과에서 게임 이론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오스틴의 각색본을 보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소설을 읽게 되었습니다. 오스틴의 소설과 게임 이론 사이의 연관성은 무시하기에는 너무 강하고 많아서 "게임 이론가, 제인 오스틴"을 쓰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janeaustengametheorist.com을 방문해 주세요!
https://www.khan.co.kr/article/201407112043425
[책과 삶]게임이론으로 본 ‘공유지식’… ‘광장’에서 서로의 선택을 조정하다
▲ 사람들은 어떻게 광장에 모이는 것일까?…마이클 S. 최 지음·허석재 옮김 | 후마니타스 | 191쪽 | 1만5000원 루소의 사슴 사냥 우화를 보자. 두 명의 사냥꾼은 각각 토끼나 사슴을 잡을 수 있다.
www.khan.co.kr
[2] 인포그래픽, 제인오스틴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1069365
인포그래픽, 제인 오스틴 : 알라딘
www.aladin.co.kr
[3] 강의 계획서
■ 주제: 제인 오스틴 작품 함께 읽기
■ 기간: 2020. 8. 21. ~ 11. 6. 매주(금), 19:00~21:00 <총 10차시>
■ 강의방법: 실시간 온라인(ZOOM)
■ 대상: 직장인, 지역주민 및 청소년 30명
■ 내용
- <오만과 편견>을 통해 사랑과 낭만의 의미 성찰하기
- <노생거 수도원>을 통해 약자의 무기로서의 풍자와 유머의 미학 조명하기
- <설득>을 통해 억압과 한계를 초과하는 창작의 의미 탐색하기
■ 강사: 한인혜(연세대 강사)
■ 주제도서:
1.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고정아 역, 시공사, 2016)
2. <노생거 수도원> (제인 오스틴, 최인자 역, 시공사, 2016)
3. <설득> (제인 오스틴, 이미경 역, 시공사, 2015)
■ 세부운영내용
구분 | 일시 | 내용 | ||
1회 | 8월 21일 19:00~21:00 |
<오만과 편견>과 사랑의 역사 사랑과 결혼이 낭만이라는 의미의 계열 속에 묶이게 된 근대의 역사를 통해서 “사랑”의 의미와 해방성, 그리고 그 한계를 재조명합니다. |
||
2회 | 8월 28일 19:00~21:00 |
<오만과 편견>에 나타난 감정과 무감정 낭만을 다룬 소설에서 감정이 결여되는 것이 가능할까? 인간의 감정이 최대치 로 발현되는 연애의 경험에서 감정을 최대한 제어하는 오스틴의 소설 기법과 그 의미를 살펴봅니다. |
||
3회 | 9월 4일 19:00~21:00 |
<오만과 편견>과 여성 여성의 주체성과 독립성이 온전히 보장되지 않은 사회에서, 저항과 순응의 이분법을 넘어 실존의 의미를 찾아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탐색합니다. |
||
4회 | 9월 11일 19:00~21:00 |
<노생거 수도원>, 풍자와 유머 I 작가가 당대의 사회와 기득권, 지배적 가치를 풍자와 유머를 통해 비판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풍자와 유머를 우리의 삶 속에 전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 색합니다. |
구분 | 일시 | 내용 |
5회 | 9월 18일 19:00~21:00 |
<노생거 수도원>, 풍자와 유머 II 작가가 당대의 사회와 기득권, 지배적 가치를 풍자와 유머를 통해 비판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풍자와 유머를 우리의 삶 속에 전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 색합니다. |
6회 | 9월 25일 19:00~21:00 |
<노생거 수도원> 아이러니와 유머 오스틴이 아이러니를 통해 사회의 부조리 앞에서 염세의 늪에 빠지지 않으면 서도 모순과 타협하지 않는 방식을 살펴봅니다. |
7회 | 10월 16일 19:00~21:00 |
<설득>과 사랑의 역사II 사랑과 낭만의 감각이 재현되는 방식에 있어서 앞서 살펴본 <오만과 편견>과 <설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오스틴은 <설득>에서 왜 그러한 변화를 꽤했는 지 살펴봅니다. |
8회 | 10월 23일 19:00~21:00 |
<설득>과 여성 19세기 초 ‘여성’과 ‘주체’의 의미와 충돌하는 상황에서 타협과 불응의 대립 이항을 초과하는 삶이란 어떤 것인지 알아봅니다. |
9회 | 10월 30일 19:00~21:00 |
<설득>과 삶의 유한성 작품에서 인간의 죽음과 삶의 유한성에 대한 직관이 드러난 방식을 살펴보고, 오스틴이 이 통찰을 승화한 고유한 방식에 대해 분석합니다. |
10회 | 11월 6일 19:00~21:00 |
제인 오스틴의 현재적 각색 오스틴의 작품을 각색한 현대의 영화와 소설을 살펴보고 그 의미와 한계를 토론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자의 삶의 위치에서 오스틴을 각색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
댓글